근막통증유발점
♡근막통증 유발점과 경혈
근막: 근육의 구성단위인 수많은 근섬유 가닥들을 각각 포장지와 같이 싸고 있는 것.
건: 근막들이 끝에 가서 집합되어
인대: 심층근막이 두꺼워져
근막동통증후군은 어깨나 목의 통증을 주로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목이 뻐근하다, 뒤통수가 당긴다, 어깨가 무겁고 아프다, 허리가 뻣뻣하고 불편하다' 등으로 표현한다. 근육의 일부분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면 그 부위에 대사산물이 축적되고, 주위혈관이 압박돼 혈류가 감소하면서 근육이 단단해지고 민감해지는 근막통증 유발점이 생기게 된다. 이는 갑작스럽게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한 결과로 조직이 손상되고 근육세포내의 칼슘농도조절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통유발점으로부터 척수로 들어가는 여러 신경섬유가 자극돼 연관통증과 자율신경증상이 나타나며, 근막통증은 정신적 스트레스, 바이러스 감염, 춥거나 습기 찬 날씨, 장기간 지속되는 긴장상태, 과도한 근육사용 등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손가락으로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며 병원을 찾는 사람 중 감기 환자 다음으로 많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마사지와 온열치료를 하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호전될 수 있다. 스트레칭 운동을 하거나 일반적인 진통제로 조절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는 활동성 근막 유발점에 바늘을 삽입하여 이를 파괴하는 시술을 할 수도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을 담, 어혈, 염좌, 혈허, 기허, 혈체 등과 관계있는 것으로 보고 치료한다. 침, 뜸, 부항, 사혈, 추나, 물리요법 등으로 통증을 제어하고, 적절한 한약투여로 기혈을 순환시켜 신경성으로 진단받은 근막동통증후군 환자들을 치료해 왔다.
◆ 회전근개파열 · 목디스크 있어도 어깨 통증
회전근개(어깨힘줄)에 염증이 생기거나 목디스크가 발생한 경우에도 어깨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회전근개는 어깨에서 팔뼈를 감싸며 붙어있는 4개 근육의 힘줄을 말한다. 여기에 염증이나 파열이 생기면 어깨통증이 발생하고 심하면 팔을 들어 올릴 수 없게 된다. 어깨를 다치거나 심한 운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40세 이후에는 퇴행으로 인해 서서히 파열이 진행될 수 있다.
목 디스크로 알려진 경추 수핵 탈출증도 간혹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목 쪽 척추인 경추와 경추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 나와서 신경근 또는 척수를 누르는 질환으로, 뒷목과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모든 병이 그렇듯이 어깨힘줄손상과 목디스크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공부하거나 컴퓨터 작업을 할 때 바른 자세를 유지해 어깨에 힘이 실리지 않도록 해야 하며, 작업 중간에 틈틈이 목과 어깨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목디스크와 근막통증후군
목디스크와 근막통증후군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는 고개를 뒤로 젖힐 때, 근막통증후군은 고개를 숙일 때 아프다. 목과 어깨가 쑤시고 손가락도 저리거나 마비증세가 오면 디스크일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