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달(月)의 별칭들
음력 1월-시작이나 머리 같은 의미의 한자가 많다
맹춘(孟春), 세초(歲初), 연두(年頭), 정초(正初), 수세(首歲), 단월(端月), 정월(正月), 이단(履端), 원월(元月), 인월(寅月), 맹양(孟陽), 맹추(孟陬), 발세(發歲), 세수(歲首), 조세(肇歲), 발춘(發春) 방세(芳歲), 화세(華歲), 수세(首歲), 신원(新元), 원월(元月), 인월(寅月), 월정(月正), 원정(元正) 청양(靑陽), 초세(初歲), 초춘(初春), 추월(陬月), 태월(泰月), 태주(大簇), 헌세(獻歲), 화세(華歲). 수세(首歲),-음력 11월도 같이 씀
1월은 봄의 출발이고 한해의 시작이라 元, 初, 春 라는 한자들이 많다.
음력 2월
중춘(仲春), 중양(仲陽), 춘한(春寒), 감춘(酣春), 대장월(大壯月), 묘월(卯月), 여월(如月), 여월(麗月), 여한(餘寒), 영월(令月), 제석(帝釋)달, 춘은(春殷), 협종(夾鍾), 화조(華朝)
음력 3월-봄이 만개한 시기라 아름다움, 가득함을 뜻하는 한자가 많다.
계춘(季春), 만춘(晩春), 모춘(暮春), 혜풍(惠風), 가월(嘉月). 방신(芳辰), 염양(艶陽), 소화(韶華), 고선(姑洗), 병월(寎月), 화월(花月), 잠월(蠶月), 전춘(殿春), 재양(載陽), 청명(淸明), 곡우(穀雨), 중화(中和), 고세(姑洗), 진월(辰月), 도월(桃月), 동월(桐月), 진월(辰月), 춘훤(春暄), 쾌월(夬月),
음력 4월-여름의 시작.
맹하(孟夏), 입하(立夏), 초하(初夏), 맥추(麥秋), 건월(乾月), 괴하(槐夏), 괴훈(槐薰), 맥량(麥凉), 사월(巳月), 수요절(秀葽節), 시하(始夏), 여월(余月), 앵하(鶯夏), 유하(維夏), 정양(正陽), 중려(仲呂), 청화절(淸和節)
음력 5월-여름이 한참 익어가는 계절이라 매화와 석류, 단오와 관계된 한자들이 많다.
중하(仲夏), 매하(梅夏), 훈풍(薰風). 고월(皐月), 구월(姤月), 매림(梅林), 매우(梅雨), 매월(梅月), 매자우(梅子雨), 매천(梅天), 명조(鳴蜩), 오월(午月), 유빈(蕤賓), 유열(榴烈), 유하(榴夏), 유화(榴花), 유화월(榴花月), 조염(早炎), 주양(朱陽), 주하(朱夏), 중오(重午), 포월(蒲月), 하오(夏五),
음력 6월- 한참 무더울 시기라 더위를 뜻하는 한자들이 많다.
계하(季夏), 만하(晩夏), 복염(伏炎), 장하(長夏), 구월(具月), 구토월(具土月), 계월(季月), 둔월(遯月), 미월(未月), 복월(伏月), 비열(比熱), 비염(比炎), 비염(沸炎), 상하(常夏), 서월(暑月), 성염(盛炎), 소서(小暑), 액달(厄-), 염열(炎熱), 염증(炎蒸), 요염(燎炎), 유열(庾熱), 유염(庾炎), 유월(流月), 임종월(林鍾月), 재양(災陽), 증염(蒸炎), 차월(且月), 치염(熾炎), 형월(螢月), 혹염(酷炎), 홍염(烘炎)
음력 7월-가을로 접어드는 계절이라 가을이라는 한자들이 많다.
맹추(孟秋), 개추(開秋), 초추(初秋). 난추(蘭秋), 초량(初凉), 과기(瓜期), 과월(瓜月), 교월(巧月), 금천(金天), 난월(蘭月), 냉월(冷月), 노량(露凉), 동월(桐月), 만열(晩熱), 만염(晩炎), 미랭(微冷), 상월(相月), 상추(上秋), 소추(小秋), 수추(首秋), 신량(新凉), 신월(申月), 신추(新秋), 양월(凉月), 양천(凉天), 오월(梧月), 오추(梧秋), 유화(流火), 이칙(夷則), 조추(肇秋), 조추(早秋),
음력 8월-가을의 절정
중추(仲秋), 청추(淸秋), 추양(秋陽), 가월(佳月), 계월(桂月), 계추(桂秋), 고추(高秋), 관괘(觀卦), 교월(巧月), 관월(觀月), 남려(南呂), 노랭(露冷), 소월(素月), 안월(雁月), 엽월(葉月), 영한(迎寒), 완월(玩月), 월석(月夕), 유월(酉月), 장월(壯月), 정추(正秋), 조월(棗月), 중상(仲商), 중추절(仲秋節), 장월(壯月), 추고(秋高), 추은(秋殷), 추천(秋天), 한단(寒旦).
음력 9월-늦가을로 국화와 마지막을 의미하는 한자들이 많다.
계추(季秋), 만추(晩秋), 국추(菊秋), 모추(暮秋), 계상(季商), 국령(菊令), 국월(菊月), 궁추(窮秋), 노추(老秋), 모상(暮商), 무역(無射), 박월(剝月), 상랭(霜冷), 상강(霜降), 상신(霜辰), 상후(霜候), 술월(戌月), 영월(詠月), 잔추(殘秋), 초추(杪秋), 추계(秋季), 추말(秋末), 추상(秋霜), 추심(秋深) 풍신(楓辰), 현월(玄月).
음력 10월-겨울이지만 소춘(小春), 소양춘(小陽春)처럼 봄‘春’자가 쓰이거나 양월(陽月), 양월(良月)처럼 햇볕을 나타내는 한자가 쓰인 건 겨울이지만 햇볕이 따뜻해 작은 봄 같다는 의미로 쓰였다.
맹동(孟冬), 초동(初冬), 초설(初雪), 초한(初寒), 개동(開冬), 소양춘(小陽春), 조동(肇冬), 곤월(坤月), 동난(冬暖), 동훤(冬暄), 방동(方冬), 상월(上月), 상동(上冬), 소춘(小春), 양월(陽月), 양월(良月), 응종(應鍾), 조동(肇冬), 해월(亥月).
음력 11월-동지가 있는 11월은 해가 남쪽 끝에 이르렀다는 뜻의 남지(南至)라는 말이 있다.
중동(仲冬), 성한(盛寒), 수세(首歲), 설한(雪寒), 가월(葭月), 고월(辜月), 기한(祈寒), 남지(南至), 복월(復月), 선양(線陽), 신양(新陽), 양복(陽復), 응호(凝冱), 일선양(一線陽), 자월(子月), 정동(正冬), 주정(周正), 지월(至月), 지한(至寒), 지호(至冱), 창월(暢月), 황종(黃鍾).
음력 12월
계동(季冬), 만동(晩冬), 모동(暮冬), 모세(暮歲), 납월(臘月), 가평(嘉平), 궁기(窮紀), 궁동(窮冬), 궁랍(窮臘), 궁임(窮稔), 궁호(窮冱), 납미(臘尾), 대려(大呂), 도월(涂月), 모절(暮節), 절계(節季), 빙월(氷月), 사월(蜡月), 세초(歲杪), 엄월(嚴月), 절계(節季), 제월(除月), 청사(淸祀), 초동(杪冬), 축월(丑月)
음력을 쓰던 과거에는 봄 1~3월, 여름 4~6월, 가을 7~9월, 겨울 10~12월로 구분했기에 처음, 중간, 마지막 등과 의미가 통하는 한자에 춘하추동을 맞추는 한자가 많다.(한국민속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