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상 진설법 제사상 진설(陳設)법 제사상 차리는 진설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다르며 옛 학자들의 주장도 한결 같지 않다. 일반화된 기본적인 제수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진설하는 순서 1 열 - 반서갱동(飯西羹東) ♥ 면서병동(麵西餠東):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에 놓는다. 2 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동두서미(.. 미풍양속/제사지내는 방법 2011.01.23
제사와 차례 제사와 차례 현대에는 매년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 와 설, 추석에 지내는 '명절차례' 만 장려되고 있다.(건전가정의례준칙) - 기제(忌祭) : 기제는 기일제사의 약칭으로 기일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로서 오늘날 제사라면 통상 기제를 말한다. ➀. 기제의 봉사대상 과.. 미풍양속/제사지내는 방법 2010.04.09
제사지내는 절차 제사지내는 절차 상 차리는 방법, 지내는 순서, 절차 등은 가정,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家家禮라한다. 지방 대신 사진을 모시고 지내도 된다. 1. 상차리기 제사상에 음식을 차린다. 지방 혹은 사진을 모신다. 2. 강신(조상님 오시기를 청하는 절차). 모든 참석자는 제사상 앞에 선다. 제주(아들).. 미풍양속/제사지내는 방법 2010.04.09
절 예절 절 예절 * 공수법(拱手法)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평상시 남자와 여자의 공수 동작 ① 남자의 공수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미풍양속/제사지내는 방법 2010.04.09
지방과 축문 축문 예 아버지 기제사 축문(단설): (아버지만 돌아가셨거나 어머니까지 돌아가셨어도 아버지 제사 때 아버지 것만 차리는 경우) ○○년 ○월 ○○일에 큰아들 ○○는 아버님께 아뢰옵니다. 계절이 바뀌어 아버님 제사 날이 돌아와 아버님을 생각하니 하늘 같이 넓고 끝이 없는 은혜에 보답할 길이 없.. 미풍양속/제사지내는 방법 2010.04.09
제사음식의 의미 - 제사음식의 의미 감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이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 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이 .. 미풍양속/제사지내는 방법 201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