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婚書紙 (사성)쓰기>
혼서지란 혼인 때 신랑 집에서 예단과 함께 신부 집에 보내는 서간으로 혼서, 또는 예장지라고도 한다. "귀한 딸을 아들의 배필로 허락함에 선인(先人)의 예(禮)에 따라 납폐(納幣)의 예(禮)를 올리니 받아 달라"는 내용.
납폐(納幣)는 신랑 측에서 신부용 혼수와 예장(禮狀=혼서지婚書紙) 및 물목(物目)을 넣은 혼수함(婚需函)을 신부 측에 보내는데 이것을 납폐라 하여 정해진 격식이 있다.
혼서지는 집안에서 제일 높은 어른이 쓰는 것이 원칙인데 요즘에는 한복집에서 인쇄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인쇄된 경우 예)
辛 卯 年
月
日 |
惟 尊 照 謹 拜 上 狀 |
謹 行 納 幣 之 儀 不 備 伏 |
今 愛 (딸) 또는 손 녀 貺 室 玆 有 先 人 之 禮 |
存 慈 許 以 |
長 成 未 有 伉 儷
伏 蒙 |
尊 體 百 福 僕 之 長 次 子 성 명 年 旣 |
時 惟 계절 孟 春 혹은 仲 秋 등
|
본 관 後 人 호 주 성 명 拜 |
時 惟 孟 春(시유맹춘)
尊 體 百 福 僕 之 長 子(존체백복복지장자) 年旣長成未有伉儷 (년기장성미유항려)
伏 蒙 (복몽)
存慈 許以(존자허이)
今愛(영애, 손녀인때는 손녀) 貺室玆有先人之禮(황실 자유선인지예)
謹行納幣之儀 不備伏惟(근행납폐지의 불비복유)
尊照 謹拜 上狀(존조 근배 상장)
全州後人 李○○ 再拜 (혼주(婚主)의 본관 후인(後人) 혼주성명(婚主姓名) 재배(再拜)-인쇄 양식에는 없음.
* 해설
때는 봄(가을)이 무르익은 계절이 온데 존체만강 하시옵니까. 저의 장자 00가 이미 성장하여 배필이 없었더니 높이 사랑하심을 입사와 귀중한 따님으로 하여금 아내로 맞게 해주시니 이에 조상의 선인의 예에 따라 갖추지 못하였으나 삼가 납폐 의식을 행 하오니 살펴 주시옵소서.
*. 혼서지 규격
가로 72cm정도× 세로 36cm 정도 (가로9등분 9칸)
혹은 가로 60cm정도×세로 40cm정도도 흔히 쓰는 규격임
* 혼서지 봉투
길이 35cm 정도 폭 10 cm 정도
* 봉투 쓰는 법(봉하지 않음)
앞면 - 신부 성과 경칭 예) 金先生宅 入納
뒷면 - 혼주 본관과 성명 예) 謹封 慶州 李 ○○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