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풍양속/고사지내는 방법

고사상 차리는 방법

취송(翠松) 2010. 4. 13. 16:33

고사상 차리는 방법

상은 북쪽으로 놓되 건물 위치상 여의치 않을 때는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 술

술은 穀酒(곡주)로서 즉 쌀로 만든 막걸리나 청주를 사용한다.

* 돼지머리 

땅에 사는 짐승 중 돼지는 다산 다복을 의미. 형편에 따라 돼지고기도 좋다.

* 떡

일반적으로 팥 시루떡이 사용되나, 산신제용으로는 백설기가 사용된다.

고사를 마칠 때까지 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떡을 썰지 않는다.

* 과일

가능한 한 햇과일을 준비한다. 씨 없는 과일은 준비하지 않는다.

陰陽五行에서 陽을 대표하는 대추, 陰을 대표하는 밤, 감(곶감), 배, 사과 등은 깨끗이 씻어서 홀수로 놓는다. 이 때 과일의 종류도 홀수여야 하며 각 과일의 개수도 홀수여야 한다.

* 포

 북어로 하되 통북어로 한다. 문어포를 쓰던지 생 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전

 일반적으로 제사상에 오르는 전을 사용하면 된다.

* 나물

나물은 三色으로 하되 시금치, 도라지, 고사리, 콩나물 등을 준비한다.

* 생선 

조기를 놓는다. 조기는 서쪽에 놓는다.

* 정화수

물은 정화수로(한 그릇) 사용할 것. 물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라는 뜻이 있음.

* 쌀

쌀은 될 수 있으면 햅쌀로 하는 것이 좋고 한 그릇을 준비한다.

* 북어와 실타래 

실은 굵은 실타래로 준비하며 이는 길게 뻗어 나간다는 영속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 향/양초

향과 초를 적당량 준비한다.


 

'미풍양속 > 고사지내는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의 의미  (0) 2010.04.13
고사순서  (0) 2010.04.13
고사축문  (0) 2010.04.13